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혁신적인 하이브리드 SUV의 등장
SUV 시장에서 독특한 디자인과 실용성으로 이미 확고한 입지를 다진 KGM 토레스가 혁신적인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바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의 출시입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 KGM이 야심차게 선보이는 첫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로, 기존 토레스의 강점에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결합하여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동시에 다재다능한 SUV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출시 소식, 주요 특징, 그리고 가격 정보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출시 소식
KGM은 2025년 3월 11일, 자사의 첫 번째 HEV 모델인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공식 출시하며 하이브리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습니다. 이는 KGM에게 매우 중요한 이정표가 될 뿐만 아니라,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 하이브리드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국내 하이브리드 시장은 2020년 이후 연평균 44%가 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KGM의 과감한 행보는 하이브리드 대중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KGM이 처음으로 선보이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존 KGM 차량에 익숙한 소비자뿐만 아니라 새로운 고객층의 관심 또한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징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혁신적인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여 뛰어난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구현했습니다. 병렬 방식의 듀얼 모터와 e-DHT 변속기의 조합은 충전과 전기 주행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연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강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도심 주행 시에는 최대 94%까지 전기차 모드로 주행이 가능하여, 복잡한 시내 환경에서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정부 공인 표준 복합 연비는 18인치 휠 기준 15.7km/ℓ, 20인치 휠 기준 15.2km/ℓ로 매우 우수한 수준입니다. 이는 가솔린 모델 대비 약 41% 향상된 연비 효율로,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뛰어난 경제성을 입증합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라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토레스 하이브리드에는 경쟁 모델 대비 넉넉한 용량의 1.83kWh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었습니다. 이 대용량 배터리는 안정적인 전류 공급을 통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더 긴 거리를 전기 모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수명이 긴 것으로 알려진 12V LFP(리튬 인산철) 저전압 배터리를 적용하여, 장기적인 차량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을 제공합니다.
최고 수준의 정숙성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습니다. 흡음형 20인치 타이어를 적용하고 엔진룸, 엔진 커버, 휠하우스 등 주요 부위에 흡차음재를 보강하여, 도로 소음과 타이어 공명음의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 뿐만 아니라, 쇼크업소버를 업그레이드하여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대폭 개선했습니다.
역동적인 주행 성능 또한 놓치지 않았습니다. 130kW(약 177마력)의 고성능 모터를 탑재하여, 전기차 수준의 즉각적인 가속력과 부드러운 주행감을 선사합니다. 엔진은 1.5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으로, 150마력의 최고 출력과 22.5 kg.m의 최대 토크를 발휘하며, 전기 모터는 177마력과 30.6 kgf.m의 토크를 제공합니다. 주행 상황과 도로 경사에 따라 회생 제동력을 자동 조절하는 스마트 회생 제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였습니다.
안전한 주행을 위한 첨단 기능도 빠짐없이 탑재되었습니다. 지능형 크루즈 컨트롤(ACC & SSA)과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AEB)을 포함한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를 통해,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1열 파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한 8개의 에어백이 탑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으며, 안전 하차 경고, 트레일러 스웨이 컨트롤(TSC) 등의 기능도 제공됩니다. 차체 강성 확보를 위해 고장력 강판을 78% 적용하고 핫프레스 포밍 공법을 사용하여, 충돌 안전 성능을 강화했습니다.
편의 기능으로는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Athena 2.0'이 탑재되어, 다양한 정보를 시인성 좋게 제공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고품질 사운드 시스템인 ALPINE 사운드 시스템은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며, 스마트 테일게이트, 3D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습니다. 듀얼존 풀 오토 에어컨, 마이크로 에어컨 필터, 오토 디포그, 애프터 블로우 기능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켜 줍니다. 2열 시트를 완전히 접을 경우 동급 최대 수준인 1,662리터의 넓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가격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판매 가격은 개별소비세 3.5% 및 친환경차 세제 혜택 적용 후 T5 트림 3,140만 원, T7 트림 3,635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세제 혜택 전 시작 가격은 개별소비세 5% 기준으로 3,290만 원부터입니다. T5 트림과 T7 트림의 가격 차이는 약 500만 원으로, T7 트림은 다양한 추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든 옵션을 더할 경우 최대 4,522만 원까지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T5 트림은 부족함 없는 기본 편의 사양을 갖추고 있으며, T7 트림은 더욱 풍부한 고급 사양을 제공합니다. 2025년 4월 중에는 온라인 전용 모델인 '토레스 하이브리드 SE' 모델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트림 | 가격 (세제 혜택 후) | 주요 특징 차이 |
T5 | 3,140만 원부터 | 기본 편의 사양 |
T7 | 3,635만 원부터 | T5 기본 사양 포함, 추가 고급 편의 및 안전 사양 (예: 헤드램프, 엠비언트 라이트, 뒷좌석 커튼, 통풍/열선 시트, 주행 보조 시스템 등) |
경쟁 차종 비교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국내 준중형 SUV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현대 투싼 하이브리드 등과 경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의 복합 연비는 최대 16.3km/ℓ로 토레스 하이브리드보다 약간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의 시작 가격은 3,458만 원부터로,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비해 다소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차체 크기 면에서 기아 스포티지, 현대 투싼보다는 약간 크고, 기아 쏘렌토, 현대 싼타페보다는 작은 중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휠베이스는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2,680mm, 스포티지 하이브리드가 2,755mm로, 실내 공간에서는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파워트레인은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1.5L 가솔린 엔진과 BYD의 1.8kWh 배터리를 사용하는 반면, 스포티지 하이브리드는 1.6L 터보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세금 혜택
2025년 현재,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는 최대 7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세 역시 개별소비세의 30%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2024년까지 최대 40만 원까지 감면되었던 취득세 혜택은 2025년부터 종료되었습니다. 따라서 2025년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총 세금 감면액은 약 100만 원으로, 2024년의 183만 원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마치며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경쟁력 있는 가격, 뛰어난 연비 효율, 넓은 실내 공간, 그리고 다양한 첨단 기능들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도심 주행에서 높은 비율의 전기차 모드를 구현하고 동급 대비 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점은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기존의 강력한 경쟁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차별화된 장점과 합리적인 가격 정책은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2025년부터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취득세 감면 혜택이 종료되었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세제 혜택은 토레스 하이브리드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KGM이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다양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일 계획을 밝힌 만큼, 앞으로 국내 친환경차 시장에서 KGM의 활약을 기대해 봅니다.
'DASAU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W iX2, 쿠페형 전기 SUV로 살만한데? (1) | 2025.03.23 |
---|---|
벤츠 '더 뉴 CLA' 공개 역사상 가장 우아하다! (0) | 2025.03.18 |
KGM 무쏘 EV, 전설의 귀환(특징, 가격) (0) | 2025.01.27 |
현대 넥쏘 2세대 이렇게 나온다면 사야지! (0) | 2025.01.24 |
현대 싼타페 판매량 증가 현상과 이유 6가지 (8) | 2024.10.12 |
댓글